2025년이면 인천 송도에서 출발해 강릉까지 1시간50분대면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 월판선(월곶~판교선)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. 월판선을 통해 낙후되어 있던 수도권 서남부권의 교통 혼잡을 개선하고 기존 전철역들과 환승을 통해 주요 거점 도시들과의 접근성이 대폭적으로 좋아 질 것으로 보입니다. 수도권 동서축을 가로질러 교통의 혁명을 불러일으킬 월판선(월곶~판교선)노선도, 착공·개통 시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월판선(월곶~판교선)
사업내용
총사업비: 2조664억 원(안양 만안역 1,308억원, 시흥시 장곡역 633억원 포함)
사업구간: 월곶~판교 간 34.155km (11개역) 상하단선: 8.098km 복선: 26.057km (신안산선 공유구간:9.80km 별도)
착공시기: 2021년 (예정)
개통시기: 2025년 (예정)
노선도
월판선 노선도 출처-국토부
월판선은 인천 송도에서 출발하여 판교역까지 이어지는 복선전철 사업입니다. 인천 송도역은 기존 수인선 노선과 공용하며, 시흥시청역~광명역까지는 신안선노선과 공용하게 됩니다.
월판선(월곶~판교선)이 2025년 개통되면 경강선(판교~강릉)과 연계 운행을 통해 송도~강릉까지 동서축을 잇는 중요 노선이 될 전망입니다.
경유지
출처-국토부
월판선 사업구간인 월곶~판교 구간까지 총 정거장 11개소 (신설역8개소, 기존역 개량3개소)가 신설 및 기존역을 활용할 계획입니다. 환승역으로 월곶(수인선), 시흥시청역(소사~원시선, 신안산선), 광명역(KTX경부선, 신안산선), 안양(경부선), 인덕원(인덕원~동탄선, 4호선), 판교(신분당선, GTX-A, 경강선) 에서 연계 노선으로 환승 할 수 있습니다. 본 노선은 수인선 및 성남~여주선과 직결노선입니다.
운행계획
출처-국토부
월판선은 일반 전동차(통근형)와 EMU250(Electronic Multiple Unit ,특급형)이 운행될 예정입니다.
최고시속은 EMU250특급형250km/h, 일반 전동차 120km/h입니다.
월판선에서 운행될 열차 속도는 일반 전동차 71km/h로 9호선 급행열차(46.8km/h)보다 빠르고 EMU급행열차는 107.km/h로 일반 기차와 비슷한 수준입니다.
특급형 전동차 (EMU-250)
30분 간격으로 1일 36회 운행될 예정
송도~여주 14회 (62분)
송도~서원주~남원주 11회 (76분 소요)
송도~서원주~강릉 11회 (110분 소요)
통근형 전동차 (급행열차 없음)
첨두시 15분 비첨두시 20분 시격, 1일 58회 운행
연수~부발 14회 (87분)
연수~여주 44회 (99회)
EMU예상 소요시간
월판선 EMU예상 소요시간입니다. 향후 계획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.
EMU 정차역
월곶~판교선 구간 중 급행EMU열차가 정차하는 곳은 당초 9곳으로 계획됐지만 기획재정부의 검토 과정에서 5개역으로 축소 됐습니다. EMU정차역은 송도역, 시흥시청역, 광명역, 인덕원역, 판교역이 됩니다. 여기서 송도역은 일반 EMU출발역이 되며 통근형 전동차 시작점은 연수역부터 이용할 수 있습니다.
월판선 효과
월판선을 통해 수도권 서남부 지역의 교통이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주민들의 교통편의 또한 크게 높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. 특히 송도역에서 인천발KTX·수인선, 시흥시청역에서 서해선, 광명역에서 경부고속철도·신안산선, 인덕원역에서 4호선·인덕원~동탄선, 판교역에서 신분당선·경강선으로 환승할 수 있어 수도권 남부 주요지역들과의 교통 연계성을 갖을 수 있어 서울과의 접근성 또한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.
기존에 인천 송도에서 강릉까지 버스로 3시간 50분이 걸렸던 소요시간이 월곶~판교 복선전철이 개통되면 경강선(판교~강릉)과의 연계 운행을 통해 1시간 50분대로 줄어들게 되며, 2조2천억원의 생산유발효과와 2만299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.
다른글 보기
▶서남부권 핵심전철이 될'신안산선'(노선도,착공시기,운영계획)
▶통일을 준비하는 전철 대곡~소사선(개통시기,노선도,일산역 연장계획)
좋은 정보 얻어가셨다면 구독+공감♥ 내용이 잘못되었거나 수정이 필요하다면 댓글 남겨주세요.